2024년 해외 상업용 부동산 투자
- Series ① - 미국 정부는 언제쯤 금리를 인하할까?
- Series ② - 최근 해외 오피스 가격이 많이 떨어졌다고 하는데, 얼마나 떨어졌나요?
- Series ③ - 해외 부동산 투자의 Check Point !
미국은 높아진 물가로 인하여 2022년부터 가파르게 금리 인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 때 9%까지 치솟았던 물가는 점차 하락세로 전환되며 안정을 되찾고 있습니다.
높은 금리의 영향으로 금융 비용이 확대됨에 따라 자산 가격은 큰 폭의 하락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2024년의 미국 경제는 어떻게 될까요?
[금융 시장의 화두는 물가와 금리]
지난 코로나 사태와 유동성 과잉의 영향으로 높은 물가 상승이 이어지며,
글로벌 각국은 빠르게 금리를 인상하여 물가 상승에 대한 공포를 축소하고 있어요.
이제는 5%대의 고금리로 인해 경기 침체와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 점차 확대되고 있는데요.
아직까지 높은 금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경제 위축과 높은 이자 부담에 따라 시장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전망들이 나오고 있어요.
물가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수단이 통화 정책(금리) 카드입니다.
물론 추가적인 유동성을 공급하는 경우도 많지만 금리를 활용하여 물가를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에요. 그러나 미국의 금융 당국이 원하는 수준까지 물가가 잡히지 않았어요.
금융 당국은 2%대의 안정적인 물가를 기록할 경우에만 내리겠다는 방향에는 변함이 없어요.
최근 발표된 1월 소비자 물가 지수도 전문가들의 예상(2%대 기록)을 꺽고 3.1%를 기록했어요.

이제 금융당국은 금리 인하보다 시장 안정화를 중점으로 생각하고 있어요. 급격한 금리 인상 여파로 장단기 금리의 역전현상도 점차 안정을 찾아가고 있고, 물가가 점차 안정을 찾아감에 따라 시장 금리도 소폭 감소세를 보이고 있어요.
[순항 중인 미국 경제]
2023년 미국 경제 성장률은 2.5%를 기록하며 선진국 중에서 가장 높은 성장을 기록했어요.
IMF에 따르면 이러한 성장 기조가 2024년까지 이어질 거라고 예상하고 있어요.
높은 금리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는 순항하고 있네요.
그렇다 보니 금리를 낮춰야 할 명분이 부족한 상황이에요😥

진정한 투자자가 되기 위해서는 한 걸음 더 나아가는 게 중요합니다! 😀
우리가 알아볼 것은 미국 경제의 대표적인 지수들인데요. 제조업 지수는 축소 국면에서 반등하면서 침체에 대한 우려가 해소되고 있습니다.
서비스업(53.4p, PMI지수)은 확장 국면을 의미하는 50p이상을 기록하며 미국 경제를 이끌고 있어요.

지난 코로나 사태가 발생할 당시 14.7%까지 치솟았던 실업률은 빠르게 안정을 되찾으며,
지난 2월 기준 3.7%를 기록했어요. 과거 30년 간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고 꾸준히 유지되고 있어요.
미국 경제는 금리를 인하할 만큼 나쁘지 않은 것 같아요.

[미국은 언제쯤 금리를 내릴까?]
미국 연준 위원들이 예상하는 향후 금리 추이를 보면, 2024년도에는 2번 정도를 예상하고 있어요.
그 뒤로는 해마다 4~5번 정도 인하하면서 금리 인하기를 예상하고 있는데요.
미국 경제가 디플레이션 우려보다 다시 반등하고 있는 측면을 보게 되면,
상반기 인하보다는 하반기 인하에 가능성을 높여 가고 있어요 !

리얼바이 투자 Tips!
앞서 설명 드린 대로 금리는 물가 안정을 위한 도구로 많이 활용되고 있어요.✏️
그래서 많은 투자자분들이 물가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높은 상황입니다.
그러나 최근 미국 실업률 지표가 실물 경기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부각되고 있어요. 그 이유는 오랜 과거부터 실업률이 크게 상승하는 초입 국면에 경제가 어렵다는 반증이기도 하고 금리 인하가 시작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으실 거에요.
앞으로는 미국의 실업률 지표도 열심히 확인해보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