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얼바이 홈
  • 뉴스레터
검색.svg

'유상증자'하면 리츠 주가가 떨어진다고요? 돈 되는 유상증자 구별법

https://static.realbuy.io/images/blog/42ce9bca-ac4a-4c66-b008-9a59f5ea3eb3_39.png

"유상증자하면 주가 떨어진다"는 말, 정말일까?"

요즘 리츠에 투자하는 분들 사이에서 가장 자주 들리는 말 중 하나가 있습니다.

“또 유상증자야?”

“이러다 또 주가 빠지겠네…”

실제로 SK리츠, ESR켄달스퀘어리츠, 한화리츠 등 여러 상장 리츠들이 잇따라 유상증자를 발표했고, 이 소식이 전해질 때마다 투자자들은 주가하락 걱정에 불안감을 비추는데요

하지만 정말 유상증자 = 주가 하락일까요? 그리고 리츠는 왜 굳이 이런 결정을 반복하는 걸까요?

 

상장 리츠가 유상증자하는 3가지 이유

 

💬 잠깐! 유상증자가 뭔가요?

유상증자는 기업이 주식을 추가로 발행해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말합니다. 투자자에게 신주를 돈 받고 파는 것이죠. 리츠는 이렇게 확보한 자금으로 새로운 부동산을 매입하거나, 대출금을 상환하여 재무 건전성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안정적인 배당의 기반을 다지는 데 사용합니다. “회사의 미래 가치에 투자해주세요. 더 큰 성과로 보답하겠습니다!”라는 자신감의 표현이기도 합니다😯

 

1) 우량 자산 편입을 위한 신규 자금 조달​​

리츠는 투자 자산(주로 상업용 부동산)을 사서 그 임대수익을 바탕으로 배당을 지급합니다. 그런데 이 구조가 지속되려면 새로운 자산을 편입하거나, 기존 자산을 리모델링·리파이낸싱 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죠.

▶ 이럴 때 은행 대출(부채) 말고 자본을 조달(=유상증자)하는 방식이 사용됩니다.

특히 최근과 같은 고금리 시기에는 대출(부채) 이자 부담이 크기 때문에, 자기자본을 확충하는 유상증자가 훨씬 안정적이고 전략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 사례: ESR켄달스퀘어리츠

– 물류센터 추가 편입 자금 확보 목적 → 유증 후 '로지스밸리 안성Ⅱ' 등 신규자산 편입 발표

출처_더벨: ESR켄달스퀘어리츠, 1500억 유증에도 주가 '선방'

2) 배당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리츠의 가장 큰 매력은 바로 꾸준한 배당입니다. 그런데 보유 자산에서 발생하는 임대수익만으로는 배당 여력이 부족해질 때도 있어요.

▶ 이럴 땐 유상증자를 통해 현금흐름을 보완하거나, 신규 자산에서 수익을 낼 수 있게 준비하는 거죠. 즉, 배당금을 줄이지 않기 위한 전략적 선택일 수도 있습니다.

📌 사례: 한화리츠

유상증자 추진과 동시에 연 270원 배당 계획을 밝히며 배당 수익률 7% 유지 전략을 명확히 제시 → 스폰서인 한화생명·한화손보가 전체 유증 물량의 절반을 소화해 투자자 신뢰도확보+유증 안정성 강화

출처_신아일보: 한화리츠, 스폰서 유상증자 참여 확정

3) 리스크 관리를 위한 재무구조 개선

일부 리츠는 공실률이 높아지거나 시장 불확실성이 커질 경우 레버리지(부채 비율)가 너무 높아지는 상황을 맞기도 합니다.

▶ 이럴 땐 유상증자를 통해 자본금을 늘려 재무안정성을 확보하고, 부채 상환 혹은 유동성 개선에 활용하기도 합니다.

📌 사례: SK리츠

– 전단채(단기차입금) 상환 통한 재무구조 안정화 → 2025년 6월 485억 원 규모 제3자배정 유증 진행, "기존 배당 유지"도 함께 발표

출처_에너지경제: SK리츠, 제3자 유증 결정 ...485억 규모 등

유상증자 = 무조건 나쁘다? 오해입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유상증자하면 주식 수 늘어나고, 주가 떨어지는 거 아냐?”라고 생각하실 수 있어요.

물론 주식 수가 늘어나면 단기적으로 주당 가치가 희석될 수 있다는 우려는 타당합니다. 하지만 리츠의 본질은 ‘배당 성장 스토리’입니다.

​따라서 단순히 주식 수의 양적 변화보다는, 조달된 자금이 만들어낼 ‘질적 성장’에 집중해야 합니다.

​즉, 유상증자를 통해 편입하는 자산이 얼마나 높은 수익을 창출하며, 이것이 주당 배당금(DPS)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는가가 핵심입니다. 결국 유상증자의 ‘수량’보다 내용과 전략이 더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 유상증자 때 꼭 확인해야 할 3가지

✔️ 어떤 자산을 새로 편입하는가?

→ 위치, 공실률, 임대료 수준 등을 반드시 체크!

✔️ 배당 수익률이 희석되지 않는 구조인가?

→ 신규 주주에게만 유리한 구조인지 검토 필요

✔️ 자금의 사용처가 명확한가?

→ 부채 상환인지, 신규 투자인지, 운영비성인지


 

[유상증자 뉴스, 이제는 이렇게 보세요]

상장 리츠의 유상증자 공시를 더 이상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는 리츠가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 시장에 보내는 성장 신호일 수 있습니다.

그 유상증자가

  • 어떤 자산을 위한 결정인지
  • 배당과 재무구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 투자자에게 실질적인 수익 변화가 있는지
  • 스폰서(AMC)의 참여 의지가 강력한가?

이러한 사항들을 중심으로 바라본다면, 앞으로 유증 뉴스가 나올 때마다 겁내기보다 분석할 수 있는 힘이 생깁니다.

단기적인 주가 흔들림보다는, 중장기적으로 더 견고한 배당 구조를 만들어 가는지를 보는 눈이 리츠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기준이랍니다.

추천하는 글

경제·이슈

처음 시작하는 리츠(REITs) 투자, 이 용어만 알면 쉬워요!

배당수익률, DPU, FFO, NAV

2025.05.13

thumbnail
경제·이슈

선의·이미지·절세, 그들의 기부에서 배우는 자산관리 방법

"부자들이 기부하는 이유는요..."

2025.05.13

thumbnail
series
⋅ 경제·이슈

① 미국 금리는 언제 인하할까?

2024년, 급변하는 매크로 환경을 확인해보아요!

2024.03.04

thumbnail
sI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