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얼바이 홈
  • 뉴스레터
검색.svg

“나만 또 없나” 전전’金金’…사상 최고치 찍은 금값, 더 오를까?!

https://static.realbuy.io/images/blog/273a05d6-dd94-438f-8d15-933f8dd66df6_금 투자 섬네일.png

안녕하세요!🙋‍♀️

요즘 뉴스나 주변에서 “금값이 또 올랐다더라”라는 말을 자주 들어보셨을 것 같은데요. 2025년 2월 현재 금값은 온스당 $2,938(약 868만 원/10g)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해요(국내 금값 559,312원/1돈, 한국거래소). 보통 ‘고금리’ · ‘강달러’ 구간에는 금값이 주춤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번에는 좀 다르게 흘러가고 있죠.

세계적인 펀드매니저들 역시 “인플레이션과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이어진다면 금값은 더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는데, 과연 그 배경은 무엇일까요? 지금부터 차근차근 함께 살펴보아요!

[⚠️주의] 본 게시글에서는 실제 시장 상황이나 시점과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특정 금 투자 방식에 대한 추천이나 비판을 목적으로 작성된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투자에 나서기 전에는 각자의 재무 상황, 위험 성향 등을 충분히 고려하시고, 필요하다면 전문가와 상담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1. 최근 금값, 왜 이렇게 오를까요?

(1) 고금리 · 강달러에도 ‘금값 폭등’… 트럼프 2기 정책 불확실성이 한몫?
과거에는 금리가 높아지고 달러가 강세이면, 금값은 보통 약세를 보였어요. 이자도 없고 달러의 반대편 자산으로 여겨졌기 때문이죠. 하지만 지금은 미국발 고금리 기조달러화 강세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금값이 신고가를 찍고 있어요.

분석가들은 이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 때문이라고 설명해요. 관세 부과와 같은 무역 정책이 구체화될 시점(4월 1일 이후)이 예고되면서, 그전에 ‘헤지(불확실성 방어)’ 성격으로 금을 사두려는 수요가 몰린다는 거죠. 다만, 과거에도 불확실성에 따른 단기 급등은 종종 있었지만, 시차를 두고 금값이 되돌림(조정)을 보인 사례도 많았습니다. 단기적인 오버슈팅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어요.

과거에도 불확실성에 따른 단기 급등은 종종 있었지만, 시차를 두고 금값이 되돌림(조정)을 보인 사례도 많았어요. 단기적인 오버슈팅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어요.

(2) 세계 중앙은행들의 지속적인 금 매입!
2022년 이후 많은 국가의 중앙은행들이 외환보유액 다변화를 위해 금 보유량을 늘리고 있어요. 특히 중국, 인도, 폴란드, 터키 등 신흥국들이 외환보유고를 다변화하기 위해 금 보유량을 늘리는 중이에요. 이는 미국 달러 의존도를 줄이려는 전략으로 해석되고 있어요. 또한, 이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에요.

(3) 증가하고 있는 금 투기!
글로벌 경기 둔화·트럼프 행정부 정책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로 금이 안전자산으로 주목받으면서 투자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요. 더 나아가 투자용 골드바와 금 ETF 수요까지 크게 증가하면서 금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게 된 계기가 되었어요. 이러한 단기적 투기 매수세는 정점에 달하면 다시 꺾일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어요.


2. 금 투자, 지금 시작해도 될까요?
금값이 이미 꽤 올랐다고 하니 “지금이라도 빨리 사야 하나?” 고민하시는 분들 많으실 거예요.

(1) “단기 과열” 우려 있지만, 연말까지 10% 더 오를 수도
금 가격이 “단기 과열(오버슈팅)” 구간에 진입했다는 평가가 있어요. 그럼에도 공급이 제한된 금은 “조금만 사도 가격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구조”다 보니 중앙은행 주도 금 매입이 계속되는 한, 올해 말(2025년 말)까지 약 10% 추가 상승 가능성도 열려 있다는 의견도 있어요. 즉, 단기 등락은 있을 수 있지만 장기 흐름은 우상향일 것이라는 전망이죠.

📰 관련 기사: "연말까지 금값 10% 더 오를 것…골드바보단 금ETF 추천"

(2) 중앙은행 주도 금 수요는 지속될 것!
중국, 폴란드, 인도 등과 같은 신흥국은 선진국 대비 금 보유량이 낮아 추가적인 매수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에요. 특히, 신흥국에서는 미국과의 관계가 우려되어 미국 달러 의존도를 줄이고 금을 매입하는 전략이 유지될 전망이에요.

(3) 미국 재정 악화 → 금 투자 증가
미국의 재정 적자가 확대되고 있는 부분도 우려되는 부분이에요. 미국의 국가 부채가 많아질수록 달러의 신뢰도는 당연히 약화될 수밖에 없어요. 이로 인해 달러를 대체할 수 있는 안전자산으로 금을 선택하여 매입 움직임이 강화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어요.


3. 금에 투자하는 여러가지 방법
금에 어떻게 투자할 수 있는지 궁금해하는 분들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진 투자 수단을 다시 한번 정리해 볼게요.

(1) KRX금현물
증권사에서 ‘금현물 전용 계좌’를 열어 1g 단위로 사고팔 수 있어요. 팔아서 생기는 매매 차익에 세금이 없고, 보수(운용 수수료)도 없다는 점이 장점이에요. 다만, 사고팔 때 0.1~0.3% 정도의 거래 수수료와 실물 인출 시 부가세가 붙을 수 있으니 확인해보셔야 해요.

(2) 금 ETF (국내·해외)
주식처럼 쉽게 거래할 수 있고, 소액 투자가 가능해요. 다만 매매 차익엔 배당소득세(15.4%)가 붙고, 펀드·ETF마다 운용 보수가 조금씩 있습니다.

(3) 골드뱅킹(금 통장)
은행 앱으로 간편하게 0.01g 단위까지 소액 매수가 가능해요. 접근성이 좋지만 수수료와 배당소득세가 있고, 금 통장 개설 시 은행마다 이용 수수료율이 다를 수 있어요.

(4) 실물 금(골드바, 액세서리 등)
‘직접 내 손에 쥐고 있다’는 심리적 안정감이 크지만, 부가세·세공비 등 구매 비용이 많이 드는 편이라 단기 투자에는 비효율적일 수 있어요.

(5) 금 펀드, 금광 회사 주식
간접적으로 금값에 연동될 수 있지만, 실제 금값보다 해당 기업의 실적 영향도 받아서 변동성이 클 수 있어요.


오늘은 고금리·강달러에서도 치솟는 금값의 배경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습니다. 금값이 많이 올라서 “늦었나?” 싶은 분들도 계시고, “더 갈 거야!”라고 기대하는 분들도 계실 텐데요. 결론은 '내가 왜 금에 투자하려고 하는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분산 투자할지'를 먼저 생각해 보는 게 핵심이에요. 언제나 그렇듯, 모든 투자는 자신의 재무 상태와 목적을 확인한 뒤 결정하시는 게 가장 현명하답니다.

📌 리얼바이 투자 Tips!

금값이 정말 어디까지 오를지는 아무도 정확히 예측할 수 없어요. 다만, 중앙은행 주도의 금 매수 수요가 분명히 존재하고, 트럼프 행정부 정책 불투명으로 단기적 헤지 수요도 꽤 올라온 상태라 지금의 상승세가 쉽게 꺾이진 않을 거라는 전망이 많아요.

💡 안전자산 ‘금’ 투자 - “장기·분산”이 답이에요!

  • 단기적 '오버슈팅' 주의
    - 금값이 이미 높은 수준이고, 단기 투기 수요가 정점을 찍을 가능성도 있어요.
    -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이 구체화되는 시점 등에서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금값이 조정받을 수 있음을 염두에 두세요.
     
  • 중앙은행 매입이 핵심 ‘우상향’ 동력 
    - 중앙은행 금 보유 비중이 여전히 낮은 국가들(폴란드, 중국, 인도 등)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매입할 가능성이 커요.
    - 이 때문에 올해 말까지 금값이 추가(+10%)로 오를 수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 ‘목적’과 ‘비중’ 먼저 생각하기
    -  단순 차익보다 ‘자산 방패 역할’로서 금을 보는 게 좋아요.
    -  총 자산의 5~12% 정도를 권장하는 분석도 있지만, 결국 본인 재무 상태와 성향이 가장 우선이에요.

금 투자를 고려하고 있는 분이라면 단기 급등 후 되돌림이 나타날 수 있으니, ‘장기·분산 투자’ 원칙을 잊지 말고 접근해 보시면 어떨까요?

추천하는 글

경제·이슈

연봉 높은데 자산 적은 사람, 대부분 ‘이거’ 안 해요

자산관리 방법 5가지만 기억하세요!

2025.04.18

thumbnail
경제·이슈

금리 하락기! 최대 수혜 산업은? 📈

가장 큰 수혜를 볼 산업인 '리츠(REITs)'와 상업용 부동산에 대해 살펴보기

2024.12.16

thumbnail
경제·이슈

금리 인하 앞둔 한국 경제, 지금이 투자 적기일까요?

오늘은 한국의 경제 상황을 함께 살펴보고, 앞으로의 금리 변화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2024.10.07

thumbnail